Jiyoung Moon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Jiyoung Moon

메뉴 리스트

  • HOME
  • 분류 전체보기
    • Works
    • Statement
    • Press
    • Interview
    • Exhibition
    • Review
    • CV

검색 레이어

Jiyoung Moon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부산비엔날레]KBS1 네트워크 공동기획 문화스케치

https://youtu.be/f5Vc6DaXaRs

Interview 2023. 4. 12. 22:25

물듦과 번짐

물듦과 번짐- 문지영론 (2021) 김대성, 문학평론가 문지영의 연작 (2014~2015)의 인물들은 하나 같이 ‘우리’를 빤히 쳐다보고 있다. 이 작품들이 가족 구성원의 일상을 담은 스냅 사진의 형식을 취하고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둔다면 특별할 게 없는 시선처럼 보이지만 ‘그들’이 단지 ‘우리’를 쳐다보고 있는 것만이 아니라, 때론 막역하게 바라보고 있는 것처럼 느껴지기도 한다. 장애가 있는 탓에 조금 뒤틀려 보이는 인물과 병으로 무너지고 있는 인물을 화폭 전면에 배치하고 있어서 관람객은 그들의 시선을 지근거리에서 감당해야 하지만 그렇게 시선을 마주하다보면 이상하리만치 가닿을 수 없는 막역한 거리가 느껴지기도 한다. 너무 가까워서 부대끼는 거리와 가닿을 수 없을 정도로 먼 거리의 겹침은 연작이 던지고 있..

Review 2022. 10. 14. 05:48

텅 빈 눈빛을 그녀는 우리에게 전해주었다

텅 빈 눈빛을 그녀는 우리에게 전해주었다 (2016) 방정아, 화가 멘토링 프로그램에 참여하면서 초반에는 문지영 작가의 이야기를 많이 들었다. 아버지의 부재, 시각장애인이자 지적 장애인인 동생과 병든 엄마를 부양하면서 겪어낸 삶을 가만히 들었다. 언제 일어날지 모르는 응급의 사태에 늘 스탠바이 해야 하는 팍팍한 시간들이었다. 그야말로 겪어보지 않으면 제대로 알 수 없을 그런 일상들을 작가는 글로 혹은 그림으로 기록하기 시작했던 것 같다. 그 이야기를 이어가는 내내 작가의 균형감있는 언어 선정과 태도는 , 작가 스스로 수없이 들어야 했던, 가족의 불운을 그림 소재로 삼았다는 비난에 대한 피로감과 그래서 더욱 그들에 대해 객관적 태도를 취하려 애쓴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었다. 지적장애인이 사회의 일원임에도 ..

Review 2022. 10. 14. 05:31

문지영 Jiyoung Moon - CV

문지영 (b.1983)모두가 당연하다고 여기는 것들에 의문을 갖는 것을 좋아하며, 사소하고 주변적인 것에 관심이 많다. 세상이 중요하다고 믿는 것보다는, 그것들을 위해 나중으로 미뤄둔 것들을 들여다보려 애쓴다. 정치학을 전공했지만 대학시절 내내 학교 밖 다양한 삶의 곁을 기웃거렸다. 알아야 할 것들은 학교보단 현장에 있다고 생각했고, 연약한 조건들 때문에 상처받는 존재들에 늘 마음이 끌렸다. 사람들 사이에서 예술이 서로를 보듬는 순간들을 경험하면서, 어린 시절의 꿈을 좇아 서른 즈음 다시 미대에 입학했다. 장애인의 가족으로 살아오며 직면한 차별, 낙인, 돌봄의 문제들을 회화, 영상, 설치 등의 다양한 매체로 표현해왔다. 초기작 가장 보통의 존재> 연작에서는 사회로부터 배제된 존재들을 향한 폭력적 시선에 ..

CV 2022. 9. 30. 00:58

추가 정보

페이징

이전
1 2 3 4 5 ··· 24
다음
Jiyoung Moon Copyright © Jiyoung Moon. All rights reserved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메일

티스토리툴바